그냥 혼자 첫번째 이니셜을 따온건데.. 좀 이상하다.. -_-;;;
Repeater - 기본적으로 segment에 흐르는 packet을 투명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. 즉, 케이블에 흐르는 신호를 재생하고 중계하는 장치이다.(bit, buffer형)
Bridge - 주소를 보고 packet을 인접 segment에 흘려 보낼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
Router - 네트워크 계층의 주소를 관리함으로써 다른 segment에 전송해야 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.
cf)Router+Bridge인 브루터라는 제품이 있는데, segment에서 수집한 packet을 조사하여 Router의 기능으로 처리할 수 없는 프로토콜이면 Bridge 기능이 나서서 다른 segment에 보낸다.
Gateway - OSI참조 모델의 Application Layer까지를 인식하고 작동하는 장치를 통틀어 말한다. 사용하는 매체나 각종 프로토콜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Gateway 기능을 통해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다.
Repeater - 기본적으로 segment에 흐르는 packet을 투명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. 즉, 케이블에 흐르는 신호를 재생하고 중계하는 장치이다.(bit, buffer형)
Bridge - 주소를 보고 packet을 인접 segment에 흘려 보낼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
Router - 네트워크 계층의 주소를 관리함으로써 다른 segment에 전송해야 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.
cf)Router+Bridge인 브루터라는 제품이 있는데, segment에서 수집한 packet을 조사하여 Router의 기능으로 처리할 수 없는 프로토콜이면 Bridge 기능이 나서서 다른 segment에 보낸다.
Gateway - OSI참조 모델의 Application Layer까지를 인식하고 작동하는 장치를 통틀어 말한다. 사용하는 매체나 각종 프로토콜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Gateway 기능을 통해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다.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icro_Processer]source (0) | 2005.12.07 |
---|---|
[자료구조]이진 트리 순회 (0) | 2005.10.27 |
명령어 실행 (0) | 2005.10.24 |
알고리즘이란.... (2) | 2005.10.11 |
자료구조의 구성 (0) | 2005.10.11 |